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2026 최저임금 얼마?|최신 인상률·계산법·주휴수당·신고 완전 정리
💡 “2026년 최저임금, 나도 정확히 알고 있을까?”
알바생, 직장인, 근로자라면 매년 바뀌는 최저임금, 인상률, 계산법, 주휴수당, 업종별 예외까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. 이번 글에서 2022~2026년 변동 내역부터 실전 계산법, 신고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.



✅ 2026 최저임금 핵심 요약
2026년 시급: 10,320원 / 월 약 2,156,880원 (주 40시간 기준)
2025년 대비 인상률: 약 2.9%
주휴수당: 주 15시간 이상, 1주 개근 시 발생
실수령액: 4대 보험·세금 약 10% 공제 후 약 1,950,000~2,000,000원



✅ 역대 최저임금 변동 추이 (2022~2026)
연도 | 시급 | 인상액 | 인상률 |
---|---|---|---|
2022 | 9,160원 | +440원 | +5.1% |
2023 | 9,620원 | +460원 | +5.0% |
2024 | 9,860원 | +240원 | +2.5% |
2025 | 10,030원 | +170원 | +1.7% |
2026 | 10,320원 | +290원 | +2.9% |



✅ 주휴수당·월급 실수령액 계산법
월급 계산: 10,320원 × 주 40시간 × 4.345주 ≈ 2,156,880원. 4대 보험(9%), 소득세·지방세(1%) 공제 후 약 1,950,000원 실수령.
예: 주 20시간 근무 알바생 → 10,320 × 20 + (주휴수당 4시간) ≈ 주급 247,680원, 월급 약 990,720원, 실수령 약 900,000원대.



✅ 업종별 적용 예외는?
현재 업종별 차등 적용 없음 (2018년 이후 통합)
수습(3개월 이내) 최대 10% 감액 가능
장애인 직업훈련, 현장실습생 등 예외 별도 계약 필요
외국인·청소년도 동일 최저임금 적용



✅ 실전 Q&A
Q. 알바생도 주휴수당 받나요?
주 15시간 이상, 주 1회 개근 시 발생합니다.
Q. 수습은 최저임금보다 적게 받아도 되나요?
3개월 이내, 10% 감액까지 허용. 이후는 동일 적용.
Q. 외국인, 미성년자 알바도 동일 적용?
네, 동일합니다. 미성년자는 부모 동의서 필요.
Q. 최저임금 위반 신고는 어디?
고용노동부 1350, 민원마당, 국민신문고에서 신고 가능.



✅ 더 자세히 보기
💬 마무리 한마디
모르면 손해, 알면 챙길 수 있는 최저임금! 지금 바로 내 급여, 내 권리를 점검하고 똑똑하게 챙기세요.



반응형